News

기술에 경영을 더하면 새로운 가치가 됩니다.

News

[이투데이] 이민화 교수 – 창업 열기, 어디까지 왔나

2014.12.09

By.관리자

[이민화 칼럼]창업 열기, 어디까지 왔나

지난 2년간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 핵심 정책으로 벤처 창업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2014년을 보내는 시점에 창업 활성화의 현주소를 되짚어 보고, 내년 정책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한다.

2001년 벤처 규제 정책인 ‘4대 벤처 건전화 정책’으로 야기된 ‘10년 벤처 빙하기’에도 불구하고 한국 벤처는 130개 세계 일류 기업의 절반에 가까운 63개 기업을 배출하고, 삼성전자의 두 배에 해당하는 300조원 넘는 매출을 거뒀다. 만약 10년 벤처 빙하기가 없었다면 지금 한국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벤처대국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을 것이다. 제2의 벤처 붐을 위한 창업 활성화 정책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이유다.

지난 2년 동안 기재부, 미래부, 중기청 등이 많은 창업 활성화 정책을 발표해 왔다. 모든 정책에는 빛과 그림자가 있기에 창업 활성화 정책 역시 문제점이 있었으나 분명한 것은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초기 투자를 담당하는 엔젤 투자가와 초기 투자 벤처캐피털의 의견을 확인해 봤다. 일부 인기 투자사에는 2년 전에 비해 10배의 사업계획서가 몰려오고 있다고 한다. 보수적 투자가조차 적어도 3배의 증가는 있다는 의견이다.

한편 창업 경진대회는 2년 전에 비해 질적 향상이 괄목할 만한 수준이라는 것이 심사 참여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사실 2년 전 많은 창업 경진 대회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날 때는 10년 빙하기를 거친 창업의 질적 수준이 형편없었고, 상당수는 미국의 복제품에 불과한 카피캣(copycat)들이었다. 심지어 카피캣을 가려내지 못하는 심사위원들의 수준도 문제가 심각했다.

하지만 양적 임계질량을 돌파하는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에서 혁신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초기의 양적 확대 정책은 나름대로 충분한 타당성을 갖고 있었다. 이제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수도권에서는 질적 전환이 나타나고 있고 내년에는 세계적 수준의 창업들이 기대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코스닥 상장을 전제로 하는 프리-코스닥(Pre-Kosdaq) 투자를 담당하는 벤처캐피털들의 의견은 반대로 나타났다. 아직 열기가 전혀 느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2000년 초 1차 벤처 붐이 일어날 당시 연간 200개 규모의 코스닥 상장사가 배출된 규모와 비교해 볼 때 현재의 30개 수준의 코스닥 상장은 만족스러울 수가 없다. 코스닥 상장 정책이 벤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엄청나다. 코스닥 정책에 대한 믿음이 벤처캐피털 심사역들에게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대체로 예비 창업에서 초기 투자 단계까지는 창업의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고 봐도 좋다. 그러나 창업 5년 이후 벤처 생태계는 아직 온기도 전달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잠재적 창업가인 학생들에 대한 기업가정신 교육은 걸음마 단계다.

그렇다면 이제 정책적 무게중심은 코스닥과 M&A를 통한 회수 시장을 정상화하는 데 집중돼야 한다. 뒤에서 밀어가는 공급 중심의 창업 정책은 나름 효과를 발휘하고 있으나, 회수 시장이 당겨주지 않으면 한계 효용은 줄어들 것이다. 당장 급한 것은 코스닥 활성화다. 올해 목표인 70개 기업 상장을 넘어 내년에는 100개, 내후년에는 150개에 도달할 때 비로소 창업 생태계는 2000년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다.

여기에 중간 회수 시장으로 M&A시장을 한국적 방식으로 육성해야 한다. 1차 벤처 붐도 벤처기업특별법 등 한국의 상황을 고려한 정책을 통해 실현된 것이다. 실리콘밸리를 벤치마킹하는 것이 필요하기는 하다. 하지만 답습하는 것은 성공으로 가는 길이 아니다. 우리의 상황에 맞는 M&A 회수 시장 정책이 2차 벤처 붐의 가장 중요한 과제다.

이민화 카이스트 교수/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 원본 출처>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033788